지리산둘레길(지리산온천~밤재~주천~정령치~산내)

2016. 6. 11. 21:56한국 둘러보기/지리산 길


여행은 아침일찍 떠나야 합니다

특히 잔차 여행은

사진에 빛을 담을수 있는 기회 때문 이기도 하지만

신선한 새벽 풍경은

참 아름답거든요




사람이 북적이던 면소재지 원촌은

유령 도시가 되는건 아닌지

다가올 인구절벽의 도시를 미리 보는것 같습니다



밤재를 오릅니다

산수유 시목이 있다는

계척마을 잠깐 들렀다 가야지요



산수유 시목 공원 입니다

백의종군로에 대한 설명이 잘 되어 있고


중국 산동성에서 왔다는군요

천년이 넘고

그래서 산동면으로 이름지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아직도 고요한 아침에서 깨어나지 못한듯

착각 하게 하는데요


바람 따라 날아가는 안개에 빛이 고이고

빛을 머금은 안개는

환상처럼

나뭇잎을 훑고 지나갑니다





갑자기 탄성이 나옵니다

우리가 구름속에 있었어...!

구름은 바다 처럼

지리산 골짜기를 넘실거리고



신비에 싸인 산골에서

산신령 이며

선녀가 내려 왔다는 선녀탕 이야기는

지어내지 않았어도

입으로 입으로

전해저 올 수 밖에 없는 이유을 알겠습니다




사진을 확대하면서

괴물이 되어버린 카메라의 위력을 실감 합니다


노고단 철탑이 모습을 드러내는군요

 


지금은 터널이 뚤려 

이 높은 밤재를 오를 이유가 없어졌지만

옛길이 살아 있으니

호젓한 여행을 즐기신다면 다녀갈만 합니다

물론 비 포장 입니다



구례에서 남원으로 진입합니다


잔차 끄시고 지리산 1차종주 후 

3년 만 입니다



둘레길 종점(시작점) 에는 

칙냉면 집이 있습니다


덥디 더운날

쓰러질듯 태양을 이기고

땀 범벅으로

저 냉면국물을 맛본다면

평생 잊지 못할지도 모릅니다




정령치 도로가 있기전

선유폭포까지 갈수 있는 우마차로 산길이 있었습니다

가을걷이가 끝나면

나뭇짐을 가득 실은 소 달구지 행렬을 볼수 있었거든요

 

정령치로 오르는 737번  지방도는

1987년 완공 개통 되었군요



그 시절만 해도

선유폭포는 오지 중의 오지였고

소년들이 모여 오지 탐험을 했던 미지의 세계 이기도 했습니다



운봉 고기리 일원과 남원이 보이고

아래 고기댐이 있군요

저 고기댐 물이 본류를 타고 흐르면 구룡폭포를거쳐

섬진강물이 되고

인공수로를타고 운봉으로 흐르면

낙동강물이 됩니다

그러고 보면

이곳 정령치가 섬진강과 낙동강 유역을 나누는 수분령 이군요


운봉과 구례 산수유 마을을 잇는 다름재가 눈에 듭니다


---산수유마을 큰집 가는길---

운봉 널다란 들판은 마당이고

지리산 만복대 능선을 넘어 산수유 마을로 가는 다름재 에는 문턱이 있었다

.....


소년은 다름재에

큰집으로 가는 문턱을 만들어 놓았었는데요

지금은 상상 속에나 있겠지요


정령치는 해발 1,172m 로

지리산에서 차로 넘을수 있는 가장 높은 고갯길 이라는 군요

그래서 인지 잔차 동호인들이 즐겨 찾는곳이기도 하구요


산 너머 너머로

천왕봉이 보입니다

저 천왕봉을 넘어가면 산청일 테고

여행의 종착지를 가름해 봅니다



뱀사골 쪽으로 내려섰으니

와운마을 천년송은 보고 가셔 야죠

본디 와운마을은 뱀사골 등산로 따라

 걸어서만 들어 갈 수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밀려오지 안았다면

지리산 속으로 숨어버렸을 마을 인데요

 지금은 차가 들어가다니...



매동 마을 입니다


매동마을의 추억은

시를 빌어 대신 합니다




오늘은 가시거리가 20km가 넘는 맑고 깨끗한 날씨였습니다

산내 중학교

운동장에서 볼수 있었던

밤하늘의 총총한 별들을

사진으로 담아볼 생각은 왜 못했었는지

아쉽기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