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채(35)
-
Death Valley Reaches Hightest Temperature in 100 Years
2020년 8월 16일 미국 켈리포니아 동부에 있는 데스벨리국립공원 의 온도가 섭씨54.4도를 기록하였군요 세계 기상기구에 따르면 1913년 7월 10일 56.7도를 기록후 처음이라고 합니다 미 국립공원에 따르면 지구상에서 가장 건조하고 뜨거운곳으로 명성이 높다고 하는데요 이 사막지역에 있는 Badwater 분지는 해발 -85.9m 이고, 여름철 데워진 공기가 깊은계곡에 갇혀 더욱 뜨거워 진다고 합니다 참고로 사해(Dead Sea)는 해발 -400m 이군요
2020.08.19 -
penis size
king's college 에서 세계인 15,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바에 따르면 발기시 Penis의 길이는 평균 : 5.1인치 (12.95cm)상위 5% : 6.3 인치 (16.0cm)하위 0.1% 마이크로 Penis : 3인치(7.62cm) 평균둘레는 죽었을때 : 3.6인치(9.14cm)살았을때 : 4.6인치(11.68cm) 라고 하는데요 바로 줄자를 들고~ 고~ ====================================================================== 최신 글로벌 인구 데이터와 인구 통계를 제공하는 독립적 영리 조직 세계인구리뷰(World Population Revi..
2020.08.08 -
돈의 홍수 : how the rich get richer
오늘날과 같이 돈이 넘처나는적은 없었습니다 중앙은행은 세상에 돈을 펌핑하고 돈의가치는 추락했습니다 우리는 수천 달러 또는 수천유로의 홍수속에 살고 있습니다 기관들간에 돈을 빌리고 빌려주며 돈을 눈덩이처럼 키울수 있습니다 이런 Snowball 시스템은 부자를 더욱 부자가 될수있게 만듭니다 대신 저축하는사람들은 손해를 보지요 만약 당신이 저축을 한다면 이것은 돈을 burning 하는거나 같습니다 어떤이들은 자신의돈을 더이상 은행계좌에 두지않을것이라고 합니다 대신에 현금자산(physical cash)을 가지고 있을거라고 말합니다 은행에 저축을하면 금리가 0.01% 입니다 이말은 1년에 100유로당 1센트 이자를 받는것 입니다 예금보다 현금이나 금을보유하는것이 더 낳지않을까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유럽중앙은..
2020.08.06 -
The Amazing Way Bicycles Change You
과학에 종사하는분들이 많이오셨군요 여러분들은 data를 좋아할 겁니다 특히 big data를 그러나 나는 여러분들에게 몇개의 data를 보여주고 우리는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토론하고자 합니다 "600,000" 이 숫자는 미국에서 매년 예방가능한 질병으로 사망하는 사람의 숫자입니다 "33,000" 이숫자는 나를 화나게하는 숫자인데요. 미국에서 매년 차사고로 사망하는 숫자입니다 이숫자는 몇십년째 이 레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차사고로 여러분의 친구나 가족 중 누군가를 잃은 사람이 몇명이나 되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약 4분의 3이 손을드는군요 그럼 이렇게 물어보겠습니다 여러분의 친구나 가족 중 테러리스트의 공격으로 사망한분이 있으십니까 아무도 없군요 그런데 차사고 뉴스는 별로 없는데 Al-Qaeda 나 ISIS로..
2020.07.17 -
관계 중심 사고
원숭이와 곰 그리고 바나나를 놓고 연관되는것끼리 짝을지으라 하면 한국인은 원숭이와 바나나를 함께 묶는다고 합니다 서양인의 눈으로는 이해불가한 현상이라는데요 원숭이와 곰은 동물이고 바나나는 식물인데 어찌 동물과 동물을 묶지않고, 동물과 식물을 묶는지 이해할수가 없다고 합니다 이것은 한국인의 관계중심 사고에서 기인한다는군요 관계중심 사고가 지나친 나머지 자기 부인을 이르러 ...."우리마누라" 라고 칭하기 까지 한다는군요 이러한 관계중심 사회에서는 칭찬 방법도 관계중심적으로 해야 한다는데요 자네는 요즘 젊은이 답지않게 일을 잘하는구만 이거는 그사람만 칭찬하고 그사람의 주위는 무시하는 칭찬이라는군요 이런 칭찬을 들의면 불안심리가 형성된다는 데요 이렇게 칭찬하라고 조언 합니다 야 요즘 젊은 친구들 능력이 뛰어나..
2020.07.06 -
한국인이 유독 집값에 집착하게된 이유
◇ 정관용> 그런데 우리 국민들이 참 집값에 민감하잖아요. ◆ 유현준> 그렇습니다. ◇ 정관용> 유현준의 시각으로 우리는 왜 그래요, 유독 그렇게? ◆ 유현준> 제가 볼 때는 우리의 주거 형태가 너무 단순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대부분 다 아파트에 사시고 우리의 아파트 평면도는 거의 중산층의 아파트 평면도 다 비슷하게 생겼잖아요. 쓰리베이 아파트에 방 3개, 모양이 비슷하다 보면 이게 집이 약간 화폐의 기능을 가지게 되는 거죠. 환금성이 똑같기 때문에 서울의 집값, 부산과 대전, 광주 다 비슷하게 생기면. ◇ 정관용> 거기가 거기고. ◆ 유현준> 그러다 보면 사람들이 어떻게 보면 자기 집의 가치 판단의 기준도 특별하게 자기 본연의 가치를 못 찾고 집값에서만 찾게 되는 그런 성향이 생기죠. ◇..
2020.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