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South Korea’s suicide rate is so high

2023. 12. 14. 01:08나-채/나눔글

 

2020년 인구 100,000명당 자살이 한국이 25명으로 가장 높군요

미국이나 일본이 15명

영국 독일이 8~9명

왜 이렇게 한국은 자살을 많이 할까요

 

한국의 자살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늘어나는데요

2022년 40~50대 자살은 100,000명당 29명입니다

그런데 80대가 되면 자살이 배로 늘어납니다

 

현대 가족은 핵가족화되어 있고 개인중심의 구조로 되어있는데

가족구성원들의 생각은 과거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전통적으로 장남이  그들의 부모를 모시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지금은 그러한 관습이 많이 약해졌습니다

노인분들이 자기 자녀들이 자기를 부양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해하지만

심리적으로 소외감이나 고독감을 느끼는 것은 사실이거든요

한국사회의 빠른 고령화에 따른 고독사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노력하고 있지만

고령화는 계속 진행되어 2050년엔 40%에 달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더군다나 노인 빈곤율이 2022년 43.8%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노인이 되면 가족들의 보살핌을 받으며 살아왔었던 고정관념 이 남아서 그들은 연금이나 저축등 노후대비 없이 돈을 그들 자녀들을 위해 모두 써버리기 때문입니다

노인세대들은 자녀의 행복이 그들의 행복으로 여기며 살아왔기에 정작 자신은 챙기지 않았습니다

 

가족 간의 관계가 과거에는 서보 보완하고 케어하는데 집중이 됐다면 

지금은 현실적으로 케어가 굉장히 어려운 상황에서 상호 간에 죄책감을 느끼면서 부담을 느끼는 것이 훨씬 많아졌습니다

그것이 노인들로 하여금 고립감 죄책감 고독감 이런 감정들이 싸이면서 자살을 생각하게 되는 거죠

 

한국의 젊은이들은 극심한 경쟁 속에서 살고 있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작은 나라가 인구가 많기 때문에 성공을 위해서는 서로 경쟁하는 수 밖에는 없습니다

어려움이 있으면 누군가와 상의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 어려움을 밖으로 들어내면 나약한 사람으로 낙인 되기 때문에 혼자 감내합니다

 

한국의 10~24세 사망의 주요 원인은 자살입니다

인구 100,000명당 사고 나 암은 4~5명인데 자살은 12명입니다

 

전문가 들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극심한 교육환경이 원인이라고 말합니다

한국학생들은 보수가 좋은 직장을 잡기 위해서는 좋은 대학에 들어가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치열하게 경쟁해야 합니다

어떤 부모들은 자녀들이 강인한 정신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군대 스타일의 훈련캠프에 보내기도 합니다

 

한국 보육 및 교육연구소의 2017년 연구에 따르면 36%의 부모가 2살 자녀에게 사교육을  시킨다고 합니다

그리고 5세가 되면 5명 중 4명이 사교육을 받는다고 합니다

어린이들은 8시 30분에 등교하고 2~3시면 학교수업이 끝나는데 다시 학원으로 가야 합니다

피아노 학원에 가는 것은 이상한 것이 아니고 아주 정상적인 것입니다

그다음에 합기도나 태권도 학원에 가고 과학 수학 영어 교육도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집에 오면 개인교습을 받기도 하고 숙제를 해야 합니다

 

학생들만이 이러한 교육시스템의 희생양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2023년 9월에 수천 명의 선생과 교직원이 서울에서 집회를 하였는데

올 7월에 23세의 선생님이 학부모의 독설에 대해 감정적 스트레스를 호소하며 자살을 했기 때문입니다

그녀의 죽음으로 2014년에 통과된 아동복지법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이 법에 따르면 아동학대 협으로 기소된 교사는 자동적으로 정직되게 되어있습니다

교사들은 학부모들이 이법을 너무 많이 악용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학부모의 괴롭힘으로부터 보호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서울에는 한강을 가로지르는 27개의 다리가 있는데 매년 500건의 자살시도가 다리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죽음의 다리로 알려 저 있는 마포다리는 자상예방을 위해 CCTV카메라, 경비원, 심지어 인공지능까지 동원되고 있습니다

2023년 4월 한국정부는 2027년까지 자살을 30% 줄이는 계획을 발표했는데요

건강검진을 자주 할 수 있도록 하고, 상담서비스를 개선하고, 자살을 시도했던 사람들을 케어하는 시스템개선등의 대책을 내노았는데, 전문가들은 사회전반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위한 지원 문화를 만들어 가는 게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South China Morning Post 2023년 12월